Lee Saerom

C# 할당 연산자 알아보기! 본문

C#

C# 할당 연산자 알아보기!

Lee Saerom 2022. 11. 17. 14:10

지금까지 변수를 선언한 후 초기화할 때 사용한 = 연산자가 바로 데이터를 할당하는 할당 연산자입니다.

var name = "C#";
var verion = 8.0;
$"{name} {verion}"

\ 실행 결과 /

C# 8

변수 값 서로 바꾸기

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변수 값을 서로 변경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이때는 일반적으로 임시 변수를 하나 더 두고 이것에 먼저 나온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바꿉니다. 다음 코드를 살펴보세요~.

var i = 100;
var j = 200;
$"처음 : {i},{j}"

\  실행 결과 /

"처음 : 100, 200"

i 값과 j 값을 변경하려면 임시 변수인 temp를 만들고 i 값을 저장합니다. 그런 다음 i에 j를 대입한 후 마지막으로 j에 temp를 대입합니다. 이 과정을 거치면 두 변수의 데이터가 변경됩니다.

var temp = i;
i = j;
j = temp;
$"변경 : {i}, {j}"

\  실행 결과 /

"변경 : 200,100"

 

변수 값을 1 증가 · 감소시키기

이번에는 변수 값을 1 증가시키는 코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

int num = 10;
num = num + 1; //1 증가
num

\  실행 결과 /

11

변수갑을 1 감소시킬 수도 있습니다.

int num = 10; 
num = num - 1; // 감소
num

\  실행 결과 /

9

할당 연산자 축약형 사용하기

할당 연산자는 += 형태의 축약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에는 x = x + 2; 형태를 x += 2 형태로 축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인 +=를 사용해 보겠습니다.

int x = 3;
int y = 3;
x = x + 2; //기본형
y += 2;	//축약형
$"x : {x}, y : {y}"

\  실행 결과 /

"x : 5, y : 5"

 

기본형과 축약형은 모두 동일하게 x와 y 변수에 2를 더해서 저장합니다.

C#에서는 개발자가 최소한의 입력으로 동일한 효과를 보여 줄 수 있는 풍부한 연산자를 제공합니다. +=와 -=연산자를 사용해 봅시다.

int a =3;
int b = 5;
b += a; //누적 : b 변수에 a 변수의 값을 누적
b
//실행 결과
8

b -= a; //b에서 a를 뺀 후 다시 b에 할당
b
//실행 결과
5

할당 연산자 중에는 += 말고도 -=,*=,/=,%=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.